목록분류 전체보기 (86)
아보카도 Blog

자료 영상 네이버 지식백과 t 검정을 하기 앞서 t value를 구해보자. t값은 signal을 noise로 나눈 값이다.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물론 excel에서 ttest 함수를 이용할 수도 있다. 나온 값을 바탕으로 t table을 읽어 비교하면 된다. 특정 t값을 도출했다면 이제 t검정을 할 차례이다. 일단 H0 영가설을 채택할 것인지, 기각할 것인지를 선택한다. t 테이블에서 critical value 값을 찾고(일반적으로 p=0.05) 이 값이 t값보다 높으면 영가설을 채택하고, 낮으면 영가설을 기각한다. 영가설을 기각한다는 것은 곧 두 집단 간의 평균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차이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지난 여름학기 때 배운 데이터 마이닝 복습 할 겸... 나중에 볼 동영상 목록에 있던 영상 하나 보며 정리한 내용. 1. Exploratory Data Analysis Histogram, Pivot Chart, Boxplot, Scatterplot 등을 생성하면서 데이터 탐색 및 분석 할 수 있다. 2. Market Basket Analysis Lift 부분에서 어느 특정 항목이 다른 항목에 비해 몇 배나 효율적인지 등을 탐색할 수 있다. 3. Cluster 중 K-Means Cluster Analysis 클러스터 나눌 때 강력한 아이 4. Naive Bayes Classification 분류할 때 유용함 다들 한번씩은 개념 학습에 연습 문제까지 풀어본 개념들이지만 몇 개월 지나 다시 보니 새롭다.
데이터 정규화에 대한 영상을 보며 정리하는 글. 관계형 DB에서 쓰이는 것으로, 제1,2,3 정규화가 있다. 제1정규화: 하나의 칸에 하나의 데이터만 들어있다. 제2정규화: 쉽게 말해 현재 테이블의 주제와 관련이 없는 칼럼을 다른 테이블로 빼는 작업이다. 원래 뜻은 Partial Dependency를 제거한 테이블을 따로 만드는 것을 말한다. 이때 Partial Dependency가 있다는 말은, composite primary key(합하면 primary key 역할을 할 수 있는 칼럼들)에 종속된 칼럼이 있다는 말이다. 제3정규화: primary key가 포함된 칼럼이 아닌, 일반 칼럼에만 종속된 칼럼을 다른 테이블로 빼는 것이다.
설연휴 마지막 날에 알고리즘 문제 풀었다. 우선 행렬의 덧셈 def solution(arr1, arr2): answer = [] for i in range(len(arr1)): tmp = [] for j in range(len(arr1[i])): tmp.append(arr1[i][j]+arr2[i][j]) answer.append(tmp) return answer 이중 for문을 사용해서 풀었다. 새로 배운 내용은, for문 쓸 때 for i in arr1, 이런식으로 단순하게 쓰기 보다는 range(len)을 사용해서 단위행렬처럼 행렬의 틀 먼저 만들어준 다음, 두 행렬을 더하는 방법이다. for문에서 i와 j를 통해서 해당 행렬의 숫자를 지정해주기. 두번쨰 문제 k번째 수 def solution(ar..
타입스크립트 2일차로 기초문법에 대해 배웠다.
정기님께서 정예반 수업 알려주셔서 A반 보충수업실가서 수업 잠깐 들었다. 1. 비구조화 할당 const 지영 = {name: "지영", score: 50} const new지영 = {...지영} 지영.name = "수정" 복사할 땐 그냥 쓰는 게 아니라 ...한 다음에 해당 파라미터를 써줘야한다. 2. map map은 리턴으로 T나 F로 하지 않는다. 특정 작업을 하고, return값을 저장한다. const mapResult = scores.map((scores:{...}) => { return { ...score, score: score.score + 5 } }) 만약 return 안써주고 싶으면 소괄호로 묶어주면 된다. const mapResult = scores.map((scores:{...}) =..

Node.js 숙련주차 과제 해설 강의를 보며 따라가고 있다. 회원 관련 기능, 게시글 댓글 구현, swagger 이용해 API 스펙 만들기, erd 만들기를 하는 과제였다. 영상 1. ERD (Entity Relationship Diagram) 우선 첫째로 erd를 만들어보자. erd는 draw SQL이라는 사이트에서 쉽게 만들 수 있다. https://drawsql.app/teams/sujeong/diagrams/erd-intermediate-assignment 1. npm init -y 2. package 인스톨 npm i -g sequelize-cli npm i express mysql2 sequelize joi jsonwebtoken bcrypt express: 서버 켜고, 만들고 띄우기 위한 ..

이번주부터 타입스크립트를 배우게되었다. 강의 들으면서 내용 정리해보자. 1. 타입스크립트의 정의 요약: 타입스크립트는 자바스크립트에 타입을 부여한 언어다. 타입스크립트(TS)란, 자바스크립트의 슈퍼셋인 오픈소스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이때 슈퍼셋은 자바스크립트(JS)의 플러스알파이다. JS와 호환되며, 이 외에 클래스, 인터페이스 등의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패턴을 제공한다. 다시 말해 JS의 장점을 늘리고 단점을 줄인 형태이다. TS는 JS 엔진을 사용하면서 커다란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게 설계된 언어이다. 때문에 JS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TS로 동작할 수 있다. TS에서 원하는 타입(any 타입 제외)을 정의하고 프로그래밍하면 JS로 컴파일되어 실행할 수 있다. 간단하게 말해서, TS는 JS + 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