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SQL (4)
아보카도 Blog

SQL 4주차의 숙제는 이제까지 배운 문법을 정리하기! 일단 쿼리 작성법은 다음과 같다. 1) show tables로 어떤 테이블이 있는지 살펴보기 2) 제일 원하는 정보가 있을 것 같은 테이블에 select * from 테이블명 limit 10 쿼리 날려보기 3) 원하는 정보가 없으면 다른 테이블에도 2)를 해보기 4) 테이블을 찾았다! 범주를 나눠서 보고싶은 필드를 찾기 5) 범주별로 통계를 보고싶은 필드를 찾기 6) SQL 쿼리 작성하기! 1. where 절, select 쿼리문 like의 다양한 사용법 where email like 'a%': email 필드값이 a로 시작하는 모든 데이터 where email like '%a' email 필드값이 a로 끝나는 모든 데이터 where email li..

이번주 SQL에서는 Join에 대해 배웠다. Join은 두 테이블의 공통된 정보 (Key)를 기준으로 테이블을 연결해서 한 테이블처럼 보는 것이다. 만약 checkins 테이블 정보와 users 테이블 정보를 함께 보고 싶다면? 조인을 쓰면 된다. 두 테이블에서 공통되는 필드를 꼽아 join ... on ... = ... 이런 식으로 쓰면 되는 것이다. 이 때 공통되는 필드를 key라고 한다. 엑셀로 따지면 vlookup이랑 같다. select * from point_users left join users on point_users.user_id = users.user_id 이 중 우리는 Left Join이라는 왼쪽에다 붙이는 조인과, Inner Join이라는 NULL 부분 빼고 교집합 부분만 보이는 조..
이번 2주차에는 데이터에서 의미있는 값을 도출하기 위한 작업을 했다. 이를 통해 최대, 최소, 평균, 개수 등의 통계 데이터와 범주(category)의 각각의 정보를 알 수 있었다. 1. group by 동일한 범주를 갖는 데이터를 하나로 묶어서 범주별 통계 내기. 2. order by select name, count(*) from users group by name order by count(*) desc; //내림차순 select name, count(*) from users where email like '%gmail.com' group by name; where, group by, order by와 같이 쓰일 때 쿼리가 실행되는 순서를 생각해 보아야 한다. 쿼리 실행 순서: from, group..
데이터 관리에 관심이 있는 나에게 반드시 필요한 SQL. 엑셀보다 쉽다는 강의명에 혹해서 열심히 듣고 있는데, 국비지원 되는 거라 하루에 8강밖에 못듣는게 아쉽다. 그래도 이번 주에 배운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자면, 1. 데이터베이스와 SQL의 필요성 1) 방대한 데이터 저장 2) 내가 원하는 데이터를 신속하게 가져올 수 있다. CRUD (Create, Read, Update, Delete) 중에 가장 많이 하는 것은 Read! 그리고 이 Read를 SQL이 편하게 만들어준다. SQL은 Structured Query Language의 줄임말로, 데이터베이스에 요청(Query)을 날려서 데이터를 가져오는 것을 도와주는 언어이다. 특별히 데이터를 가져오는 명령어를 작성하는 것을 SQL Query를 작성한다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