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데이터와 소통 (5)
아보카도 Blog
데이터 정규화에 대한 영상을 보며 정리하는 글. 관계형 DB에서 쓰이는 것으로, 제1,2,3 정규화가 있다. 제1정규화: 하나의 칸에 하나의 데이터만 들어있다. 제2정규화: 쉽게 말해 현재 테이블의 주제와 관련이 없는 칼럼을 다른 테이블로 빼는 작업이다. 원래 뜻은 Partial Dependency를 제거한 테이블을 따로 만드는 것을 말한다. 이때 Partial Dependency가 있다는 말은, composite primary key(합하면 primary key 역할을 할 수 있는 칼럼들)에 종속된 칼럼이 있다는 말이다. 제3정규화: primary key가 포함된 칼럼이 아닌, 일반 칼럼에만 종속된 칼럼을 다른 테이블로 빼는 것이다.

건강 문제로 잠시 내배캠을 쉬게 되었다. 집에 너무 가만히 있는 것 같아 개발 지식들을 조금씩 익히려고 한다. 오늘 배운 운영체제, 하드웨어는 이 곳에 적힌 내용들을 익히면서 필사한 것이다. 1.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운영체제는 프로그램들을 실행하는 메인 프로그램이다. 네트워크 통신, 입출력 장치 관리 등 우리가 컴퓨터를 사용하는 데 필요한 모든 것을 관리한다. 2. 커널 운영체제 내부에는 여러 개의 구성요소가 자리하는데, 그 중 커널은 프로그램들을 중재하는 역할을 한다. 커널은 또한 하드웨어의 자원을 이용해 프로그램을 관리하기도 한다. 운영체제를 만들 때 커널을 기본으로 해서 그 위에 다른 것들을 올린다. 3. 하드웨어 1) CPU: 컴퓨터 시스템을 통제하고 프로그램이 돌아가는 모든..

연휴를 맞아 유튜브 돌려보며 짧은 강좌들 보고 있다. 이번에 본 강좌 1. 커널 커널이란, 하드웨어 요소들을 OS의 최하단, 기계를 상대하는 최전선에서 직접 관리하는 역할. 2. 리눅스 사용법 CLI에 명령어를 직접 입력해서 진행. 세 가지 방법 중 택 1. 가상 머신 소프트웨어 ex. VirtualBox 온라인 IDE/터미널 Window 10의 WSL 나는 윈도우 10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WSL을 사용할 것 같다.

오늘 아침에 REST API에 대한 특강이 있었다. 궁금했던 내용이라 집중해서 들었다. 무척 유익했다. 다만 실습에 시간이 많이 걸려서인지, 프로그램을 직접 다운로드 받아서 하나하나 해보기보단 튜터님의 화면을 통해 어떻게 API를 요청하는 지를 본 게 아쉬웠다. 개념만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1. API란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약자로, 응용프로그램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는 방법을 말한다. 2. REST란, 자원을 이름(자원의 표현)으로 구분해 해당 자원의 상태(정보)를 주고 받는 것을 말한다. 개념에서도 알다시피 구성요소는 자원(URL), 행위(Method), 그리고 표현(ex.JSON) 이다. REST는 네트워크 상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의 통신 방식 중 하나..
팀 소개 웹페이지를 만들면서 가장 어려운 부분은 아무래도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이었다. 이 때 나오는 개념인 api는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줄임말로, 두 소프트웨어 구성요소가 서로 통신할 수 있게 만든다. 예를 들어, 기상청 자료와 휴대폰 날씨 앱의 상호작용. api는 get과 post로 구성되고, post부분은 또한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어서 추가적인 학습이 필요하다. 이번 미니 프로젝트에서 방명록 버튼을 누르면 방명록이 접혀졌다 펴지는 동적인 웹 페이지를 만드는 과정에서 ajax에 대해 더 자세히 배웠다. 그리고 이에 필요한 웹 프레임워크인 flask도 활용했다. 다음은 ajax의 기본 골격이다. get 요청 시 데이터 중괄호 안은 비워준다. 서버에서 준 ..